선박구조 및 정비 |
선박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특수한 형태와 복잡한 구조를 강의하고, 다양한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선체 구조와 강도 및 해수에 노출된 선체의 정비 작업 등을 이해한다. |
안전 및 비상대응 |
국제협약(STCW)에서 요구하는 “항해사 자격증명에 관한 강제적 최저요건” 및 국내법(선박직원법)에서 요구하는 강제적 최소 기준을 강의하여 선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사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장비의 활용 및 절차 등을 숙지한다. |
해사법규 |
국내 해사관련 법규 중 별도의 교과목으로 편성된 법규를 제외한 법규(선박법, 국제선박등록법, 선박안전법, 선원법, 선박직원법,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등)의 입법취지 및 주요내용을 강의하여 상급학년에서 이수하게 될 항해학 전공교과과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며 항해학의 주요 용어 및 역사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
무선통신개론 |
전파전자기능사로서 항해통신장비를 운용하기 위한 무선통신의 개념과 역사, 각종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와 원리, 전세계 조난 및 안전통신의 개념에 관한 기초지식을 이해한다. |
지문항해학 |
지문항법은 모든 항해술의 원조이며 가장 기본이 되는 항법이라 할 수 있다.해도 및 해도도식, 항로표지, 연안항법, 선박의 위치 결정 등 항해학의 기본 바탕이 되는 중요한 것들이 포함되며 이에 대해 학습한다. |
항해계기학 |
항해계기의 종류 및 기능의 전반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선박조종에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이로컴퍼스, 자기컴퍼스, 속력항정계, 측심기 등의 개별 계기와 선박을 자동으로 조종하는 오토 파이럿과 각종 유체압력 제어장치 등의 전기 및 기계적인 원리 및 구성도 등의 강의를 통해 선박장비의 운영능력 향상과 항해정보 획득 능력을 학습한다. |
해상충돌예방규칙 |
선박상호간의 안전 통항과 충돌방지를 위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항법 및 항해술을 규정하고있는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국내 관련법규와의 관계를 강의하여 항해사로써의 기본 자질과 역량을 배양한다. |
적화 및 복원성 |
선박 적화 및 복원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해상운송에 관련된 화물운송 절차 및 서류, 선박 화물 및 하역설비 특성, 복원성, 선박의 종경사, 횡경사, 배수량 계산 등 실무 계산 업무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항해사 및 관련 산업 전문인으로서 실무에 적용한다. |
해사통신영어 |
본 교과목에서는 IMO 표준해사통신용어(SMCP)에 대한 지식 전반을 습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며 선내 전반에서 SMCP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천문항해학 |
천문항해학은 천체의 관측을 통해 구한 위치선을 이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구하는 천문항법과 시의 개념, 천체관측에 의한 자이로 오차수정 등의 대양항해에 필수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대양항해 시 전자 기기 의 고장으로 인하여 GNSS에 의해 위치를 구할 수 없을 때에 항해사는 천체를 이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선박조종학 |
선박조종에 필요한 선박조종 이론, 선박조종 특성, 선박조종 실무를 습득한다. 조타장치, 추진장치, 쓰러스터, 예선의 이용, 외력의 영향으로 인한 선체운동, 항해와 접이안, 계류와 묘박 등의 이론과 실무에 대해 학습한다 |
전자항해학 |
전자항해는 전파, 전자기술을 활용하여 해상에서 선박을 주어진 목적에 맞게 안전하고 효율성 높게 공간적으로 이동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전자항해의 환경변화에 맞추어 미래의 항해사에게 요구되는 전파, 전자에 대한 지식은 물론 전파전자항법 시스템의 원리, 구조, 운용 기법 등을 교육한다. |
레이더항법 |
IMO의 STCW에 의한 항해 당직에 임하는 모든 항해사의 Radar 및 ARPA 사용에 관한 교육 및 훈련에 관한 사항으로 그 원리와 실제 장비 사용을 통항 실무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
특수선운용학 |
특수선의 이해와 화물의 종류, 특성 및 독성, 운항 실무, 운항 특성, 화물 관리 등을 이해하여 실무에 활용한다 |
해사안전협약 |
국제연합(UN) 전문기구(Special Agency)의 하나인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를 통하여 채택/개정/발효되는 각종 국제협약의 현황과 개요를 학습하고, 국제 해상 인명 협약(SOLAS협약)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여 실무에 활용한다. |
해사영어 |
해사영어에 대한 지식 전반을 습득하고, 실무에 적용하여 각종 일지나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배우며, 해상영어를 사용하여 선박의 deck log book, abstract log, bell book, garbage record book 등 각종 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
항해종합실습Ⅰ,Ⅱ |
해상안전, 운용술, 당직요령, 항해술, 조종술, 선박 통신술, 기상, 하역작업 등 해상실무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승선실습을 실시하고 실무에 적용한다. |
GMDSS 및 통신영어실습Ⅰ,Ⅱ |
해상적응능력을 기르고, 해상안전, 운용술, 당직요령, 항해술, 조종술, 선박 통신술, 기상, 하역작업 등 해상실무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승선실습을 실시하고 실무에 적용한다. |
적화실습Ⅰ,Ⅱ |
해상적응능력을 기르고, 해상안전, 운용술, 당직요령, 항해술, 조종술, 선박 통신술, 기상, 하역작업 등 해상실무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승선실습을 실시하고 실무에 적용한다. |
선박운용 및 안전관리실습Ⅰ,Ⅱ |
해상적응능력을 기르고, 해상안전, 운용술, 당직요령, 항해술, 조종술, 선박 통신술, 기상, 하역작업 등 해상실무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승선실습을 실시하고 실무에 적용한다 |
기관공학개론 |
선박운항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항해사가 선박의 안전항행은 물론 경제적 운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관관련 지식을 폭넓게 전수하고 이해시켜 세계적인 우수 항해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전파법규와 통신운용 |
GMDSS 보조 시스템 및 통신 기기의 운영에 대한 실무적 세부지식, 무선전화 및 직접인쇄전신을 사용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무선통신 관련 규정과 SOLAS 협약 상 무선과 관련된 규정 그리고 통신운영 절차 등을 교육한다. |
해양기상학 |
안전한 선박 운항을 위한 해면 위의 대기현상 및 대기현상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 해양의 표면이 대기에 주는 영향 등을 이해하고 실무에 활용한다. |
해양환경협약 |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상선 해기사 및 실습생(예비해기사)가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73/78)의 부속서1(기름오염방지규칙), 부속서2(산적유해액체물질오염규제규칙), 부속서3(포장유해물질오염방지규칙), 부속서4(선박오수오염방지규칙), 부속서5(선박폐기물오염방지규칙), 부속서6(선박대기오염방지규칙)의 주요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다. |
수색및구조론 |
운항급 및 관리급 항해사가 갖추어야 할 항공 및 해상 수색 구조에 관한 국제 지침인 IAMSAR MANUAL VOL.III에 대한 국제적 표준능력을 교수하여, 해상에서의 비상상황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
선박모의운항 |
실선훈련의 사고 어려움으로 인한 불합리한 점을 배제할 수 있는 컴퓨터기반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항해사의 각종 훈련 및 항해장비 친숙화와 선박조종 및 선교운영의 효율적인 적응을 목표로 한다. |
리더십 및 팀워크 |
리더십 및 팀워크 과목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해를 위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선교(기관실) 근무팀의 기술, 지식, 경험 및 이용 가능한 자원 모두를 활용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의료처치 |
항해 중 선내 발생하기 쉬운 질병이나 상해를 중심으로 그에 따른 예방법과 처치법을 학습하여 선내 의료를 이해하고 실무에 활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