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재난관리 |
해상에서의 긴급구조기관(지방해양경찰청 및 해양경찰서)의 긴급구조활동에 대하여 이해함으로써 상선에 승선하여 해상운송에 종사하는 해기사 및 실습생(예비해기사)이 해양재난의 예방/대비/대응에 대한 기본 지식을 함양한다. |
해사인간공학 |
선박운항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각종 해양사고(충돌, 좌초, 화재 등)에서 인간과실(Human error)과 인적요소(Human factor)를 중심으로 관련이론, 분석방법, 사고사례 기반 분석, 예방방안 등을 학습한다. |
자율운항선박론 |
미래 해운산업계의 신성장 동력산업인 자율운항선박에 대하여 기술 및 연구동향, 기초이론, 국가간 협력 및 국제규정 등을 학습한다. |
해양환경관리법 |
선박, 해양시설, 해양공간 등 해양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발생원을 관리하고, 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등 해양오염물질의 배출을 규제하는 등 해양오염을 예방, 개선, 대응 복원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해양환경관리법을 이해한다. |
해상교통안전성평가론 |
해상교통 안전성 확보를 위한 평가 대상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국내외 해상교통안전성 평가 모델과 국내 주요 해상교통환경에 대한 안정성 평가 수행에 대해 학습한다. |
해양레저안전론 |
해상에서의 다양한 해양레저활동에 투입되는 인적 물적 환경적 위해요소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수립하며 해양레저 관련 안전규정을 습득한다. |
안전품질시스템 |
전품질시스템구축, 품질 개념과 ISO시리즈, 품질시스템인증절차, 품질시스템 촉진 방법 등에 대하여 교수한다. |
해양사고데이타분석론 |
해양사고 발생 시 확보 가능한 혹은 확보하여야 하는 각종 선박관련 정보, 기상 및 해상상태 정보, 해상교통량, 항로 현황 등의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개별적 혹은 종합적으로 해양사고의 원인요소를 도출할 수 있는 해양사고 관련 데이터의 활용 및 해석 방법 능력을 배양한다. |
해양오염방제론 |
해양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킴과 동시에 선박으로부터 기름 등 오염물질의 배출을 예방하고, 해양기름유출사고에 대한 대비, 대응 및 협력에 필요한 방제조치에 관한 기본 내용을 학습한다. |
해상교통관리 |
해상교통관리와 해상교통관제(VTS: Vessel Traffic Services)에 대한 지식 전반을 습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며 해양사고 예방과 해상교통의 효율·안전을 이해한다. |
관제설비 |
해상교통관제(VTS: Vessel Traffic Services) 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지식 전반을 습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며 선박 운항자의 측면과 해상교통관제의 측면에서의 시스템 활용에 대해 이해한다. |
비상관제 |
해상교통관제(VTS: Vessel Traffic Services)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양사고의 정의와 종류를 이해하고 위험상황 인지 및 상황 예측에 대한 능력 함양, 해양사고 발생 시 비상관제 절차와 수색구조 및 해양 오염 방제 지원, 기상상황 및 사고해역에 대한 선박 통제 등에 관한 절차 등을 숙지하고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
PSC실무 |
자국항만에 기항하는 외국선박을 점검하고 기준미달선에 대한 시정조치, 출항정지, 입항거부 등 조치를 취함으로써 선박운항을 통제하는 항만국통제(PSC)제도의 의의, 목적, 관련협약, 점검절차 등을 교수한다. |
계류안전성 |
선박의 안전한 계류를 위해 선박, 선원, 부두에서 수행하는 모든 활동에 대해 학습한다. |
조선학개론 |
선박의 개요, 선박과 관련된 기초지식, 저항 추진, 구조 강도, 설계, 의장 해양구조물 전반에 걸친 기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항해사 및 조선 해양관련 전문가로서의 기초를 갖게한다. |
해운실무 |
급변하는 해상운송 및 선박운항 분야의 해운시황을 이해하고, 해상무역과 관련된 전문용어 및 실무적 현장지식을 습득하여 상선전문 해운 실무에 대하여 이해한다. |
고급수색 및 구조론 |
수색 및 구조에 관한 국제기구와 국내조직 간의 역할 및 관계, 해상 수색구조시스템의 구성 등에 관한 전공능력을 심화시킨다. |
고급전자항해학 |
최근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해기기 중 하나인 전자해도시스템(ECDIS,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과 ECDIS의 개요, 구성, 관련협약, 사용방법, 활용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학습한다. |
고급리더십 및 팀워크 |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해를 달성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선교 근무팀의 기술, 지식, 경험 및 이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고급지문항해학 |
최신의 현대기술은 선박의 항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지만, 유능한 항해사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그 기술의 근간이 되는 이론적 지식과, 관련된 역학이 강의되어야 한다. 고급지문항법은 모든 항해술의 원조이며 가장 기본이 되는 지문항해의 심화교육으로 이의 이론적 배경과 역학적 해석을 학습한다. |
기초안전교육 |
선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하여 대처하는 방법과 해상에서의 생존능력 향상을 위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무에 적용한다. |
상급안전교육 |
국제협약(STCW협약) 및 선원법에 의거 국제항에 취항하는 어선 이외의 선박의 선장, 항해사, 기관장, 기관사 및 운항장, 운항사로 승무하고자 하는 자가 선박의 조난 시 생존 및 통상 항해 시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고 실무에 적용한다. |
선박보안교육 |
해상테러는 대상선박의 선종에 따라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과 해양환경오염을 야기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선박보안교육을 통하여 해상보안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해상화물 운송선박과 항만시설에 대한 해상테러의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해상분야 보안관련 규정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