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전공 [항해학]
지문항해학 (Terrestrial Navigation)
항해학 교육과정의 기초 교과목인 지문항해학을 1학년 1학기에 교수함으로써, 항해학 및 해양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천문항해학, 전자항해학 및 해상충돌예방규칙 등의 교과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선박구조및정비 (Ship Structure and Maintenance)
선체의 구조와 정비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을 배우고, 보다 실무적인 현장성을 반영하여 폭넓고 깊이 있는 내용을 학습한. 또한 상선에 근무하는 일선 해기사들이 선박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필요로 하는 내용을 토대로 선체정비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강의가 될 것이다.
해양기상학 (Marine Meteorology)
기상 및 해상의 변화 원리, 관측방법 및 예측에 관하여 학습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해를 위한 능력과 기술을 함양한다.
해사법규 (Maritime Law and Regulations)
항해계열 전공 필수과목으로 해사법규과목을 1학년 1학기에 교수함으로써, 선박·선원·해사안전·해양환경·해상운송·해운물류 등 선박운항전문가로서 필요한 필수 해사법규 지식을 함양하게 한다.
천문항해학 (Celestial Navigation)
천문항법에 대한 기본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태양, 행성, 항성 등 천체를 이용해 선박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안전 및 비상대응 (Marine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안전과 위험성 평가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고, 해상에서 인명의 안전을 위한 제도 및 생존기술을 익힘으로써 자신과 동료의 안전을 지키며, 화재에 대비하여 화재 및 소화 이론과 선내 소화설비 시스템을 배운다. 선박의 충돌, 좌초 또는 좌초 후 선체 손상을 제한하거나 각종 해양사고로부터 인명과 선박을 구하기 위한 제도와 기술을 학습하며, 해상에서 조난 및 인명구조와 관련된 국제협약을 배움으로써 유사시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해상충돌예방규칙 (COLREG)
국제협약인 해상충돌예방규칙협약(COLREG 72)에 따른 선박의 항법 및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 기준에 관한 협약(STCW)에 따른 항해당직 관련규칙을 학습하며, 국내법인 「해사안전법」, 「선박의 입항 및 출항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항법 및 해양사고 예방에 관한 법규를 익힘으로써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능력을 함양하고, 사고시 책임관계 및 재발방지 대책을 연구하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항해를 위한 전문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전자항해학 (Electronic Navigation)
쌍곡선항법, 위성항법시스템 등 전파(전자)항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선박에 탑재된 GPS(전세계위성항법시스템), AIS(선박자동식별장치), ECDIS(전자해도표시장치) 등 전파(전자)항해기기의 원리 및 사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항해계기학 (Navigational Equipments)
Mag. compass, Gyro compass, Speed Log, Echo Sounder, Auto pilot 등 항해계기의 기본원리와 사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각 항해계기의 한계를 이해하고 점검 및 보수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적화및복원성 (Cargo Stowage and Stability)
해상운송 전반에 대한 이해와 화물적재에 따른 선박의 안정성, 화물의 특성과 관리에 대한 실무지식을 배양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물류와 해상운송, 하역설비, 선박의 감항성, 흘수와 배수량, 적화 계획과 하역, 각 선종별 특성에 대하 이해하도록 한다.
해사영어 (Maritime English)
선박 및 항해와 관련된 주요 용어를 이해하고, 선박항해일지(Ship’s Logbook) 작성에 필요한 각종 관측, 계산, 기록을 위한 표준적 방식을 학습하며, 당직 항해사로서 정기적으로 이행하고 기록하여야 하는 각종 교육・훈련 등에 관한 지식을 함양한다.
무선통신개론 (Introduction to Radio Communications)
항해사로서 습득해야 할 선박통신에 관련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무선통신의 전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전파통신신호의 시간-주파수적 형태와 특성, 변조신호 생성과 복조시의 신호 복원 원리, 송수신기 구조 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레이더항법 (Radar Navigation)
레이더는 해양기상에 제한을 거의 받지 않고, 연안항해나 협수로항해 시 본선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상대선의 거리와 방위를 체계적으로 관측하여 상대선의 속력과 침로를 알아낼 수 있다. 특히 충돌의 위험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항해안전에 유용한 전자항해계기이다. STCW 협약에서는 항해사에게 항해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레이더와 자동레이더플로팅장치(ARPA)의 사용에 대한 해기능력을 반드시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수강생들이 이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한다.
해사통신영어 (Maritime Communication English)
항해계열 전공필수과목으로 해사통신영어 과목을 교수함으로써, 항해사로서 필요한 IMO 표준해사영어(IMO Standard Marine Communication Phrases, SMCP)를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선박 항해사로서 필요한 필수 통신영어 및 표준 통신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선박조종학 (Ship Maneuvering and Handling)
선박조종에 필요한 선박조종 이론, 선박조종 특성, 선박조종 실무를 이해한다. 1) 조타장치, 2) 추진장치, 3) Thruster, 4) 예선의 이용, 5) 외력의 영향으로 인한 선체운동, 항해와 접이안, 계류와 묘박에 관련된 이론과 실무를 이해한다.
선박모의운항 (Ship Handling Simulation)
항해계열 전공필수과목으로 선박모의운항을 2학년 2학기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승선실습을 나기기 전에 모의항해시스템을 통해 선박운항을 간접 체험하게 하고 항해당직의 수행에 필요한 필수 항해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당직근무실습Ⅰ,Ⅱ (Watchkeeping TrainingⅠ,Ⅱ)
항해사로서 해상적응능력 및 해상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선위측정방법, 항해안전정보 수신 및 이용법, 수로도서지의 사용, 항해당직 및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에 대해 실무를 통한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한다.
항해계기실습Ⅰ,Ⅱ (Navigational Equipments TrainingⅠ,Ⅱ)
항해사로서 해상적응능력 및 해상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실제 항해에 사용되는 Compass, Radar, ECDIS, Auto Pilot, Log, Echo Sounder, AIS 등 각종 항해계기에 대해 실무를 통한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한다.
해사영어실습Ⅰ,Ⅱ (Maritime English TrainingⅠ,Ⅱ)
항해사로서 해상적응능력 및 해상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Deck Log Book, Bell Book, Radio Log Book, Cert. 등 각종 기록물에 대해 실무를 통한 작성방법, 기록유지 및 각종 점검에 대비한 대응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적화실습Ⅰ,Ⅱ(Cargo Stowage and Stability TrainingⅠ,Ⅱ)
항해사로서 해상적응능력 및 해상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선박의 감항성 판별법, 화물의 적·양하법에 대해 실무를 통한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한다.
선박운용및안전관리실습Ⅰ,Ⅱ(Ship Operation and Safety Management TrainingⅠ,Ⅱ)
항해사로서 해상적응능력 및 해상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절치, 각종 안전장비의 사용법, 선박조종, 안전관리, 선체정비에 대해 실무를 통한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한다.
GMDSS및통신영어실습Ⅰ,Ⅱ(GMDSS and Communication English TrainingⅠ,Ⅱ)
항해사로서 해상적응능력 및 해상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통신기기 사용 및 정비법, 비상 및 조난통신 방법, 표준해사통신영어(SMCP)에 대한 실무를 통한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한다.
해사안전협약 (Maritime Safety Conventions)
항해계열 전공필수과목으로 4학년 1학기 학생을 대상으로 해사안전협약 과목으로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선박운항전문가로서 필요한 필수 해사안전분야 국제협약에 대한 기본 지식과 관련 국제동향에 대하여 학습하게 한다.
리더십및팀워크 (Bridge Resource Management)
선교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하여 인적 오류(human error)를 최소화하기 위한 리더십 및 팀워크 교육과정으로, 선장 및 항해사를 대상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관리자의 태도를 개선시키고자 하는 교육과정이다.
전파법규와통신운용(Radio Regulations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GMDSS는 전 세계 해상 조난 및 안전통신 제도로서,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척의 소중대형 선박의 통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선박에서 통신업무 및 입출항 수속업무는 주로 3등항해사가 전담하고 있다. 때문에 오늘날 항해사로 승선하기 위해서는 GOC(일반급무선통신사) 자격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본 강좌에서는 수강생들이 선박에서의 통신 운용에 필요한 실무적인 내용을 습득 및 GOC 면허 실기시험에 대비하도록 한다.
기관공학개론 (Introduction to Marine Engineering)
선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동력 장치인 내연기관에 대하여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성능 파라미터, 연소 사이클, 연료 및 연소, 압축점화기관 등을 이해하고 실제 선박 정비 및 관리에의 적용능력을 배양한다.
해양환경협약 (Marine Environment Conventions)
항해계열 전공필수과목으로 4학년 2학기 학생을 대상으로 해양환경협약 과목으로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선박운항전문가로서 필요한 필수 해양환경분야 국제협약에 대한 기본 지식과 관련 국제동향에 대하여 학습하게 한다.
수색및구조론 (Search and Rescue)
항해계열 전공필수과목으로 4학년 2학기 학생을 대상으로 수색및구조론 과목을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선박운항전문가로서 필요한 필수 수색 및 구조에 관한 기본 지식과 주요내용을 학습하게 한다.
특수선운용학 (Specialized Cargo Ship Operations)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에너지원 대부분을 바다를 통한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선박에 선적되어 운송되는 위험화물의 위험성 역시 크다. 본 과목은 특수화물은 운용하는 항해사들에게 IMO의 표어 “해상에서의 안전과 보안, 해양오염방지(safe, secure and efficient shipping on clean oceans)”의 달성을 위해 선박을 안전하게 운용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것이다. 승선실습 때 익힌 실무적인 감각을 접목시켜 적화및복원성의 주요 개념을 복습하고 이해한다. 액체화물을 운송하는 탱커선을 포함한 특수선의 개요, 선박 운항 특성, 화물관리 등을 학습함으로써 관련 선박 승선시 필요한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승선실습했던 선종에 대한 팀과제의 공유를 통해 선박의 이해도를 증진시킨다.
의료처치(Medical Treatment and First Aid)
인체구조와 기능, 응급처치, 선내보건, 약물중독, 선내 의료를 이해하고, 항해 중 선내에서 발생하기 쉬운 질병이나 상해를 중심으로 이에 따른 예방법과 처치법을 학습한다.
심화전공 [정보통신학]
회로이론 (Circuit Theory)
전자회로 이해를 위한 전류, 전압, 전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수동소자, 즉 저항, 콘덴서(커패시터), 코일(인덕터)의 기본개념과 이들의 조합회로의 직류와 교류 해석법에 대해 공부한다.
컴퓨터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ming)
시스템 프로그램 측면에서 C언어 학습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언어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추도록 하여 향후 기본적인 프로그램 사용방법을 이해함으로써 항해관련 스마트 장비 이해를 돕는다.
정보통신개론(Introduc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정보통신 관련 기본 개념과 용어 및 통신 기술을 이해하고, 데이터 통신 기술, 통신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토콜, LAN에서부터 인터넷까지의 정보통신망에 대해서 학습한다.
디지털공학(Digital Engineering)
디지털 개념, 수 체계, 코드 시스템, 불 함수, 불 함수의 간소화 방법을 습득한 후 조합회로와 순차회로의 구성 방법, 동작원리, 그리고 설계 방법 등을 다룬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공학의 기본 개념부터 디지털 회로 응용 설계에 대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회로(Electronic Circuit)
증폭, 발진, 정류 등의 선형회로와 변조, 복조 등 선형 통신회로 및 통신회로 및 특수 소자회로 등을 트랜지스터 또는 고체전자소자로 구성된 회로를 회로망 해석의 방법으로 학습하고, 선형전자회로, 펄스디지털 회로, 통신 회로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다.
컴퓨터구조(Computer Architecture)
주어진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크게 입력 장치, 기억 장치, 연산 장치, 제어 장치, 출력 장치 등 5가지 단위로 이루어진 컴퓨터의 구조를 1학년 2학기에 이해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통신과 관련된 교과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전자실습(Electronic Circuit Experiment)
증폭, 발진, 정류 등의 선형회로와 변조, 복조 등 선형 통신회로 및 통신회로 및 특수 소자회로 등을 트랜지스터 또는 고체전자소자로 구성된 회로를 회로망 해석의 방법으로 학습하고, 선형전자회로, 펄스디지털 회로, 통신 회로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실험을 통해 분석한다.
전기자기학(Electromagnetic Fields and Waves)
전기자기학에 필수적인 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 및 관련 법칙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응용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각종 기기의 원리, 운전, 그리고 설계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실시간 운영체제는 실시간 시스템의 자원의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 소프트웨어로서 실시간 운영체제는 실시간 응용을 위한 멀티태스킹 운영체제이다. 이러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장비에서 운영되는 서비스 및 장비들의 고장 원인 파악을 위한 이해는 향후 컴퓨터 구조 및 통신장비를 운영하기 위한 교과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통신이론(Communication Theory)
아날로그 통신방식와 디지털 통신방식의 기본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아날로그 통신방식으로 AM변조와 FM, PM변조, 펄스변조와 펄스부호변조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ASK, PSK, FSK 등의 동작원리와 이러한 통신 방식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의 관계들에 대해 이해한다.
무선통신기기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s)
전파전자기능사로서 항해통신장비 운영 및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무선통신시스템 구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향후 통신 연계 과목의 기초 지식을 강의한다.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s)
데이터 통신의 기본 개념과 OSI 기본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7개 계층의 기능과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디지털시스템설계(Digital System Design)
디지털 논리회로는 크게 조합회로와 순차회로로 구성된다. 본 강좌에서는 조합회로와 순차회로를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고, 과제를 통하여 디지털 회로를 구성, 측정, 그리고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전파전자기능사로서 항해통신장비를 운용하기 위해 무선통신의 개념과 역사, 각종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도와 원리, 전 세계 조난 및 안전통신의 개념에 관한 기초지식을 이해한다.
정보통신시스템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부호, 문자, 음향, 영상 등으로 나타내는 모든 데이터들을 광이나 혹은 전자적 방식으로 수집, 가공, 저장, 전송하기 위한 기기 및 소프트웨어의 조직화된 일련의 체제에 대해 공부한다.
안테나공학(Antenna Engineering)
선박 통신을 원활하기 위해서는 전자파 및 안테나의 기본 원리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전자파의 관한 기초이론부터 여러 종류의 안테나의 설명과 전파의 특징들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강의를 진행한다.
이동및위성통신공학(Mobile and Satellite Communication)
셀룰라방식의 육상이동통신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이동통신시스템, 위성통신시스템의 기본구성 및 운용현황을 이해하고, 현재 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주요 시스템의 핵심 설계이론을 이해한다.
초고주파공학(Microwave Engineering)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작동하는 전자 장치의 이론 및 설계를 하는 공학으로 전자파, 도파관, 기타 마이크로파 선로 및 회로 소자, 초고주파 증폭기, 마이크로파 필터 설계 등 소자에 대한 이론 중심의 강의를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본 강의에서는 AVR 프로세서 시리즈중 하나인 ATmega128 프로세서를 장착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C언어를 통한 Firmware 작성하는 기법을 습득한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C언어로 직접 Device를 제어하는 기술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통신응용(Application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정보(Information)를 저장, 처리하고 전달하는 제반 기술을 학습하여, 선박 통신 등의 특수 분야 통신망을 설계 및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해운실무 (Shipping Practice)
해상 운송 및 선박 운항과 관련된 최근의 급변하는 해운시황을 이해하고, 해운과 관련된 각종 전문용어 및 새로운 용어들에 대하여 이해한다. 상선에 근무하는 일선 해기사들이 선박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필요로 하는 내용들을 중점으로 배우며, 특히 용선계약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해를 도모한다.
고급특수선운용학(Advanced Specialized Cargo Ship Operations)
특수선운용학의 심화과정으로서 액화화물시뮬레이터 장비를 활용을 통해 위험과물의 운용과 관리에 대해 이해도를 증진시킨다.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팀을 구성하여 전공과 관련된 작품을 설계, 기획, 제작하여 창의성을 개발하고 협업의 기본을 배운다.
산업체현장실습(Job Placement Internship)
산업체 현장 실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전공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이끌어내고 미래 진출 분야에서의 활동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심화전공 [스마트해양정보학]
회로이론(Circuit Theory)
전자회로 이해를 위한 전류, 전압, 전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수동소자, 즉 저항, 콘덴서(커패시터), 코일(인덕터)의 기본개념과 이들의 조합회로의 직류와 교류 해석법에 대해 공부한다.
컴퓨터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ming)
시스템 프로그램 측면에서 C언어 학습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언어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추도록 하여 향후 기본적인 프로그램 사용방법을 이해함으로써 항해관련 스마트 장비 이해를 돕는다.
정보통신개론(Introduc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정보통신 관련 기본 개념과 용어 및 통신 기술을 이해하고, 데이터 통신 기술, 통신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토콜, LAN에서부터 인터넷까지의 정보통신망에 대해서 학습한다.
해양데이터분석(Marine data analysis)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해사산업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과학의 기초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python 프로그램언어를 활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이해(Big Data)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빅 데이터로,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은 학습을 위해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한데, 데이터가 폭증하는 빅 데이터시대에 그 위력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빅 데이터는 데이터 크기만이 아니라 데이터 형식과 처리속도와 더불어 기존방식의 수집, 저장, 처리, 분석이 곤란한 데이터 형태를 포괄하여야 한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빅데이터에 대한 개념, 기술, 응용, 전달, 문제점 등을 포함한다.
항로표지학(Aids to Navigaiton)
음향표지, 전파표지 등 항로표지 종류, 국내 및 국제 기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국제해상부표시스템(IALA)의 설치 기준과 주/야간 식별 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e-navigation이해(e-navigation maritime services)
스마트해양정보학 심화전공의 선택과목으로 e-navigation 이해 과목을 교수함으로써,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최근에 e-navigation에 대한 이해와 선박운항에 e-navigation 적용방안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갖게한다.
전자실습(Electronic Circuit Experiment)
증폭, 발진, 정류 등의 선형회로와 변조, 복조 등 선형 통신회로 및 통신회로 및 특수 소자회로 등을 트랜지스터 또는 고체전자소자로 구성된 회로를 회로망 해석의 방법으로 학습하고, 선형전자회로, 펄스디지털 회로, 통신 회로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실험을 통해 분석한다.
통신이론(Communication Theory)
아날로그 통신방식와 디지털 통신방식의 기본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아날로그 통신방식으로 AM변조와 FM, PM변조, 펄스변조와 펄스부호변조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ASK, PSK, FSK 등의 동작원리와 이러한 통신 방식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의 관계들에 대해 이해한다.
데이터통신(Data Communications)
데이터 통신의 기본 개념과 OSI 기본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7개 계층의 기능과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공학응용프로그래밍(Applied Engineering Programming)
공학이나 과학계산을 위해 최적화된 목적으로 사용되는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학적 문제를 모델링하고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시각화 하는 등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을 배양하여 공학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소양을 갖도록 한다.
해사정보공학(Maritime Informatics)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해사산업 관련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마이닝/인공지능의 기본적인 알고리즘과 그 구현 능력을 배양한다.
HDL 설계(Digital Design Using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디지털회로 및 시스템 설계를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설계언어(HDL)의 문법을 이해한다. IEEE 표준인 VHDL 기반의 설계능력을 갖추기 위해 Data Type과 Object, Behavioral Representation, Data flow Representation, Structural Representation 등 주요 문법과 기능을 학습하고, 이를 이용한 기본 디지털회로의 설계 및 합성방법을 다룬다.
자율운항선박이해(Understanding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자율운항선박은 인적 요소에 의한 다양한 해양사고 절감 및 운항 효율 향상측면에서 본격적으로 도입을 준비 중이다. 이러한 해운산업 분야의 변화를 인지하고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율운항선박 관련 지식 습득을 위하여 1) 자율운항선박의 개념을 이해하고 2)자율운항 선박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용에 필요한 지식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은 인간 지능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알고리즘화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지능적인 정보처리 기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마음과 뇌에 대한 인문학적, 자연과학적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강의를 통해 인공지능의 기본 원리와 인공지능의 문제 해결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정보보안론(Information Security)
현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 선박에 대한 통신 보안 및 시스템 보안에 대한 필요성과 개념을 이해하고 통신 및 자율운항선박 서비스와 같은 응용 분야에 대해 이해를 증가시킨다.
정보통신응용설계(Applied Design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기본컴퓨터시스템 개요와 임베디드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강의하고, 정보통신시스템에 응용되는 아두이노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환경 구축방법,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다양한 센서 및 디바이스를 제어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시스템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광대역통신망(Broadb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21세기 정보화 시대와 함께 4차 산업의 실현에 필수적인 방송, 인터넷, 미디어가 상호 융합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broadband multimedia services)를 언제, 어디서나 끊임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네트워크(integrated network) 관련된 기술들을 이해한다. 특히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에서의 초연결성(hyper-connected),초지능화(hyper-intelligent) 구현에 필요한 광통신, 차세대 인터넷, 초고속 Wi-Fi, 다중화, 인공 지능을 공부하고 더 나아가 선박 및 해상 통신의 적용 방안 등을 고민하고 토론한다.
해양통신시스템(Marine Communication System)
선박 통신, 해상 통신과 조난 통신 등을 위한 기본 통신 방식, IMO 관련 규정, GMDSS 기준, 통신 시스템 구성과 운영을 학습한다, 또한 e-Navigation, 자율 운항 선박 구현에 필요한 차세대 통신 기술과 시스템 등을 공부한다.
해운실무(Shipping Practice)
해상 운송 및 선박 운항과 관련된 최근의 급변하는 해운시황을 이해하고, 해운과 관련된 각종 전문용어 및 새로운 용어들에 대하여 이해한다. 상선에 근무하는 일선 해기사들이 선박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필요로 하는 내용들을 중점으로 배우며, 특히 용선계약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해를 도모한다.
해사안전행정론 (Maritime Safety & Governance )
안전과 위험성의 관계 및 평가 방식(Risk assessment)을 학습하며, 선박 항행과 관련된 인적⋅물적⋅환경적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을 연구한다. 해양과 관련된 국제조직인 국제해사기구(IMO), 국제노동기구(ILO) 등의 구성, 역할 및 기구가 채택한 각종 안전관리 제도를 학습하며, 해사안전법 등에 따른 국내 고유의 안전관리정책에 관해 학습함으로써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해양이용을 촉진한다.
해상교통관리(Maritime Traffic Organization)
항해계열 전공선택과목으로 항해정보시스템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해상교통관리 과목을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선박운항전문가로서 필요한 해상교통관리의 개념과 목적에 대하여 이해하고, 해상교통환경, 해상교통관리 수단으로서 해상교통관제(VTS) 및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e-navigation 해사서비스) 이해 관한 기본 지식과 주요내용을 학습하게 한다.
해상교통관제개론(An Introduction to Vessel Treffic Services)
항해계열 전공선택과목으로 항해정보시스템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해상교통관제개론 과목을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이 해상교통관제(VTS)에 대하여 이해하고 해상교통관리수단으로써 VTS의 역할과 주요기능을 학습하게 한다.
레이다공학(Radar Engineering)
안전항해 수행을 위해 필수적인 레이다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하여 레이다의 작동 원리 및 레이더 장치 구조를 이해한다.
고급특수선운용학(Advanced Specialized Cargo Ship Operations)
특수선운용학의 심화과정으로서 액화화물시뮬레이터 장비를 활용을 통해 위험과물의 운용과 관리에 대해 이해도를 증진시킨다.
특별학기
기초안전 및 해양훈련 (Basic Safety and Training at Sea)
승선 시 선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하여 대처하는 방법과 해상에서의 생존능력 향상을 위해 생존수영, 친숙훈련, 개인의 안전 및 사회적 책임, 개인의 생존기술, 방화 및 소화, 기초응급처치, 해난방지에 관한 사항을 실습위주로 교육한다.
선박보안교육()
해상테러는 대상선박의 선종에 따라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과 해양환경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선박보안교육을 통하여 해상보안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해상화물 운송선박과 항만시설에 대해 학습한다.
상급안전교육(Advanced Safety Training Course)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선박에 상선사관으로 승무하고자 하는 자가 선박의 조난시 생존 및 통상 항해 시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함을 위해 그명정 조종사 교육, 상급소화교육, 응급처치담당자 교육을 실시한다.
해기현장실습(Marine Officer Placement Internship)
해운선사(기관)에서 현장 실습을 통해 전공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미래 진로 설계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