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네이버블로그 유튜브
학생포털 HOME SITEMAP English

국립목포해양대학교

입학정보 바로가기
HOME 대학/대학원 첨단해양모빌리티학과 첨단해양모빌리티학과

첨단해양모빌리티학과

첨단해양모빌리티학과란?

※2024년 3월 신설예정

  • 대학최초 첨단학과! 국립목포해양대학교 최초의 첨단해양분야 학과(조선해양+해기교육)
  • 현장맞춤형 실무교육! 현대삼호중공업, 대한조선 등 조선해양산업분야 실무교육
  • 문제해결형 첨단교육! 3D프린터, 3D스캐너, 선박시뮬레이터 등 첨단기자재 활용 첨단교육

첨단해양모빌리티학과는 국립목포해양대학교에 첫 개설되는 첨단학과로서, 2024년 3월에 개설될 예정입니다. 이 학과는 스마트•친환경 선박 및 건조에 필요한 스마트 야드, 친환경 추진장치 등 선박 및 기자재 산업에 필요한 첨단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첨단해양모빌리티학과는 해양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와 해사대학 해양경찰학부(오션파워시스템전공)가 융합하여 대학본부 직속 학과로 운영하며, 다양한 지원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해양수산부 고시 및 국제협약(STCW 1978)에 따라 5급 해기사 면허 과정(24년 기관 과정)을 운영하며, LNG추진 선박, 전기추진 선박 및 수소를 포함한 대체연료추진 선박 등 친환경 선박의 핵심 기술과 관련 선박 건조에 필요한 3차원 스캐닝, IoT, 로봇 자동화 등 스마트 야드 기술을 교육하여 스마트조선해양 및 해운 분야에 필요한 현장미러형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교육비전 및 목표

  • 비전! 조선산업과 해운산업이 선호하는 창의융합형 미래해양인재 양성
  • 목표! 국내최초 조선해양공학 및 해기사양성과정 융합을 통한 해양분야 최고 경쟁력 확보
    ※ 24년도 기준, 국내 유일 5급 해기사(기관계열) 및 조선해양공학 융합학과

차별성

  • 조선해양공학!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갖춘 산업인 조선해양산업 진출 역량 확보
  • 국가지정면허! 해양수산부 5급 해기사 지정교육기관(기관) 운영을 통한 면허취득 지원
  • 산학친화교육! 현대삼호중공업, 현대E&T, HMM, 대한조선 등 조선해양 교육협력 체결
  • 취업중심교육! 5년 연속 전국 국공립대학교 취업률 1위(85.4%)

주요특징

  • 국내 최초 조선해양 및 5급 해기교육 융합 첨단학과 개설을 통한 취업경쟁력 확대
  • 현대삼호중공업, 현대E&T, 현대엔진 및 대한조선 등 대기업과 협약체결 및 연계교육 실시
  • 첨단학과 전용 건물배정 및 첨단교육인프라 구축 지원(교육인프라 연 2억원 투자 예정)
  • 해사대학 3급 면허 과정과 달리 의무승선 및 생활관 과정이 없는 일반교육과정 운영
  • 세계최대 규모 실습선 및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100% 현장미러형 실무교육 실시
  •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학생 출석 부담 최소화
  • 현장실습 및 프로젝트랩 교육과정을 통한 취업연계 맞춤형 교육 실시

취득가능 자격증

  • 5급 기관사(해양수산부) ※추후 5급 항해사 과정 확대 예정
  • 조선산업기사, 조선기사, 조선기술사(한국산업인력공단)
  •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기사(한국산업인력공단)
  • 용접산업기사, 용접기사(한국산업인력공단)
  • 수상동력레저기구 일반조종면허, 요트조종면허(해양경찰청)
  • 3D 프린터운용기능사(한국산업인력공단), 3D프린팅전문교강사, 역공학지도사 등

진출분야

  • 정부 및 공공기관 “해기면허 활용을 통한 관련분야 공무원 및 공기업 진출”
  • 조선 및 해운산업 “조선공학•해기면허 융합을 통한 설계생산직, 시운전 및 감독직 진출”

교육과정(안)

  • 총 120학점을 기준으로 스마트조선해양 교육과정(25학점 이상), 5급 상선 해기사 양성과정(30학점 이상), 마이크로디그리(9학점 이상) 및 교양 교육과정(25학점 이상) 운영예정

  • 스마트조선해양 교육과정
  • 스마트조선해양 교육과정입니다.
    교과목 교육내용 최소학점 및 이수시간
    학점 시수 시간 비고
    조선해양공학개론 선박일반, 선박설계, 건조 등 조선공학 일반 2 2 30
    디지털선박기본설계 선형, 구조설계, 구획배치 등 기본설계 기술 2 3 45
    디지털선박생산설계 의장설계, 전장설계 등 선박생산설계 기술 2 3 45
    선박해양계산 배수량, 복원성 등 선박제계산 관련 기술 3 3 45
    조선해양건조공학 조선소설비, 건조공정 등 선박생산기술 3 3 45
    선박기자재역설계 3차원 스캐닝 기반 선박기자재 역설계 기술 2 3 45
    스마트야드개론 스마트야드에 필요한 자동화, 디지털화 기술 3 3 45
    캡스톤디자인(1,2,3) 해기+조선해양공학 교육실현을 융합실습교육 6 12 180 1,2,3학년
  • 5급 해기사(기관) 교육과정
  • 5급 해기사(기관) 교육과정 교육과정입니다.
    과 정 명 목포해양대 5급 해기사 과정(내항 상선)
    법적근거 선박직원법시행령 제16조 제4항∼제6항
    이수학점 및 시간 30학점 이상 / 645시간(승선실습 360시간 이상)
    교육내용 국제해사기구 표준교육과정(504시간 이상), 해수부 기준 준용
    특 전 승선실습 중 실습지원비 지원
    협력기관 한국해운조합,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등
    5급 해기사(기관) 교육과정 교육과정입니다.
    교과목 교육내용 최소학점 및 이수시간
    학점 시수 시간 비고
    기관이론 내연기관, 친환경기관 특성, 유지·보수 등 3 3 45
    기관실무 기관배치도, Piping system, 연료유, 윤활유 등 2 3 45
    선체구조 및 항해학 선체구조 및 복원성, 선박설비, 항해학 개론 등 2 2 30
    공장 및 용접실습 기기개발 및 관리 에 필요한 공작, 용접실습 등 2 3 45
    추진 및 동력전달 추진기, 축계장치의 구성과 이해, 운전 및 관리 2 2 30
    보조기계 펌프, 열교환기 등 보기의 종류, 특성, 관리 2 2 30
    전기전자 및 제어공학 전기, 전자, 제어공학 이론, 선박 전기실무 등 3 3 45
    직무일반 국제협약 및 국내법의 이해, 해양환경 등 2 2 30
    해양오염방제 해양환경, 해양오염방제, 화학이론 및 실무 등 2 3 45
    기관시뮬레이션 기관관리시스템, 기관운전, 발전기운전 등 1 2 30
    승선실습 I 기관실 장비 운용 및 관리 실습, 기관실 당직 및 순찰 실습, 주기관, 발전기, 보일러 등 6 12 180 4주(실습선)
    승선실습 II 6 12 180 4주(현장실습)
  • 마이크로디그리: 친환경선박 모듈형 교육과정
  • 마이크로디그리: 친환경선박 모듈형 교육과정 교육과정입니다.
    교과목 교육내용 최소학점 및 이수시간
    학점 시수 시간 비고
    친환경선박리트로핏 친환경선박 개조에 필요한 리트로핏 기술 2 3 45 스마트야드
    첨단선박검사 스마트품질관리 검사 및 증서관리 등 2 3 45 스마트야드
    IoT 및 제어시스템 스마트야드 모니터링 및 기기제어 실습 등 2 3 45 스마트야드
    친환경선박설계 친환경선박 설계에 필요한 기기,선체설계 등 2 3 45 친환경선박
    전기추진시스템 추진용 전동기, 전력변환장치, 제어 및 감시 등 3 3 45 친환경선박
    배터리시스템 추진전원, 충전설비, 배터리 소화 및 방화 등 3 3 45 친환경선박
    선박대체연료 친환경에너지 원리, 종류, 특성 등 3 3 45 대체연료
    프로젝트랩(1,2) 모듈형전공별 기업체 협업형 프로젝트랩 4 8 120 3,4학년
  • 특화교양
  • 마이크로디그리: 친환경선박 모듈형 교육과정 교육과정입니다.
    교과목 교육내용 최소학점 및 이수시간
    학점 시수 시간 비고
    스마트프로그래밍(1,2) 데이터과학, Python, Tensorflow 인공지능 등 4 8 120 핵심교양
    스마트기기제어(1,2) IoT, 로봇제어 등 4차 산업혁명 지식 2 4 60 핵심교양
    창의공학설계 프로젝트 수업 역량 확보를 위한 기본지식 2 2 30 해양리더십
    기업가정신 청년창업 지원을 위한 기업 대표 등 특강 1 1 15 해양리더십
    생존수영 해양대학교 특성화 교양교육과정 운영 1 2 30 스포츠
    친환경 Issue와 R&D 환경이슈 및 첨단환경기술의 동향과 전망 2 3 45 학과지정교양
    IMO환경규제의 이해 국제해사기구 해양환경분야 규제의 이해 등 2 3 45 학과지정교양